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“타고 다니기만 해도 돈이 돌아온다!”
대중교통을 꾸준히 이용하는 분들이라면 K-패스로 매달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.
버스·지하철 요금의 최대 53%까지 환급되는 제도이며, 일반인·청년·저소득층별로 환급률이 달라집니다.
2025년 기준 가입조건, 신청 절차, 참여 지역, 환급 방식까지 한 번에 알아봅니다.
1. K-패스란?
K-패스는 버스·지하철 등 대중교통 이용 실적에 따라 일정 금액을 돌려주는 환급형 제도입니다.
- 일반인: 20% 환급
- 청년(만 19~34세): 30% 환급
- 저소득층: 최대 53% 환급
- 이용 조건: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적용, 하루 최대 2회, 월 60회까지 인정
- 환급 범위: 월 20만 원까지는 전액, 초과분은 50% 환급
2. K-패스 가입 자격
- 연령 조건: 만 19세 이상
- 거주 조건: K-패스 시행 지자체 주민등록 필수
- 참여 지역: 2025년 현재 전국 189개 지자체 참여(일부 소규모 지자체 제외)
- 외국인도 국내 거주등록번호가 있으면 신청 가능
3. K-패스 신청 방법
1. 카드 발급
- 신한, 국민, 하나, 삼성, 현대, 우리, 농협, BC, 카카오페이, 네이버페이 등 제휴 카드사에서 발급
2. 앱·홈페이지 회원가입
- K-패스 앱 또는 공식 홈페이지 접속 → 본인 인증 → 카드 등록
3.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
- 간단한 전환 절차만 거치면 K-패스 혜택 적용
4. 카드 변경 정책
- 첫 달 변경 불가, 이후 월 1회 카드 변경 가능
4. 참여 지역 확인법
- K-패스 공식 홈페이지(korea-pass.kr) 또는 앱에서 주소 입력 후 확인
- 비참여 지역이라도 추후 확대 예정, 매월 참여 지자체 변동 가능
5. 환급금 지급 방식
- 카드사별로 환급일 다름
- 예) 국민카드: 익월 말 지급, 카카오페이·네이버페이: 익월 20~27일, 농협 BC: 익월 11일 등
- 환급금은 카드 결제 계좌로 현금 입금 또는 카드 포인트 형태로 지급
📌 한눈에 보는 K-패스 요약



구 분 | 구 분 |
환급율 | 일반 20%, 청년 30%, 저소득층 53% |
환급 기준 | 월 15회 이상 이용, 월 최대 60회 |
대상 금액 | 월 20만 원 전액 + 초과분 50% |
신청 방법 | 제휴카드 발급 → 앱·홈페이지 등록 |
참여 지역 | 189개 지자체 |
지급 시기 | 카드사별 상이 |
반응형